강남 유흥주점

강남유흥주점 글로벌 비즈니스 음주 문화
성경 창세기에 대홍수가 끝난 후 노아가 포도 농사를 짓고 포도주를 마셨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그리스 신화에는 디오니소스가 포도 재배와 양조법을 전파했다는 대목이 있다.
인류 문명의 시작과 더불어 음주가 시작된 셈이다.
알코올은 대략 BC 7000년, 그러니까 지금으로부터 약 1만 년 전에 인류가 마셨다는 근거가 발견되고 있다.
밀폐된 청동용기에 보관된 술이 중국 북부에서 발견되었는데, 4000년 이상 된 것으로 학계에서는 추정한다.
무역 분쟁 해결에도 도움이 되는 알코올

강남에서는 ‘한 잔의 술은 재판관보다 더 빨리 분쟁을 해결한다’는 말이 있다. 유흥주점 이야기...
고대 그리스의 극작가 에우리피테스(Euripides)의 말이다. 무역을 하다보면 분쟁도 따라오기 마련이다.
복잡한 분쟁을 해결하는 것은 냉철한 이성보다 때로 한 잔의 술일 때도 있다.
필자가 술로 분쟁을 해결한 사례는 많다.
또한 거래가 잘 이어지지 않은 바이어들과 한 잔 술을 통해 서로의 마음을 풀고 거래를 성사시킨 경우도 많다.
필자의 경험상 ‘예(禮)를 다하여 상대방과 마시며 자기절제가 이루어진다면’ 술은 비즈니스에 큰 도움이 된다.
술도 배워야 한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강남유흥주점 음주 문화
음주는 사람의 성품을 비추는 거울이므로 상대의 인성을 파악하는 좋은 수단이기도 하다.
필자는 전 세계를 상대로 비즈니스를 하면서 자연스럽게 바이어나 협력업체 관계자들과 술을 곁들인 오찬과 만찬을 했다.
시대에 따라 마시는 술도 변화하고 품질도 다양하게 바뀌었다.
필자가 지금까지 가장 많이 마신 술은 한국술을 제외하고는 와인이다.
그 다음은 위스키, 바이주(白酒), 맥주, 코냑, 럼, 보드카, 황주(소흥주), 사케 등이다.
술에 대한 미학은 누구에게나 있으며 필자 또한 그렇다.
술이 비즈니스의 세계로 오면, 단순한 알코올의 개념을 넘어선다.
비즈니스에서 상대방의 인격과 철학을 확인하는 기회가 된다.
‘지상담병(紙上談兵)’이라는 말이 있다.
종이 위에 병법을 논한다는 말인데 즉, 이론만 능하고 실전에 약한 병통이라는 말이다.
술은 비즈니스에서 실전이다. 술에 대한 예의와 술에 대한 이해가 없다면 비즈니스 세계에선 문제가 될 수 있다.

홍콩 유흥주점에서 술과 함께했던 비즈니스
1993년 무렵, 필자의 첫 해외 출장지가 홍콩이었다.
그곳에서 인생 최초의 바이어를 만났다.
우락부락하게 생겼지만, 업무에 대하여서는 프로의 경지에 오른 분이었다.
그는 필자에게 많은 것을 가르쳐주고 도와주었다.
그는 특히 술에 관해서는 이미 신선의 경지에 오른 분이었다.
필자와 비즈니스 미팅을 할 때면 코르크 마개가 부서질 정도로 오래된 브랜디를 꺼내 한잔 마시며 시작하곤 했다.
미팅 후 저녁식사 자리에선 함께 소흥주(紹興酒)를 마셨다.
뜨거운 물에 술병을 넣어 온도를 적당히 올려 마시는데, 그 맛이 대단했다.
그는 술을 마시면서 가격을 흥정하고 정보를 열심히 수집했다.
대단한 열정과 낭만을 가진 바이어였다.
세월이 흘러 필자가 중국에 공장을 세우려 전국을 다니다가 멈추어 중국법인을 시작한 곳이 소흥(Shaoxing)이었고,
지금까지 이곳에서 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이제는 현지 지역민이 됐다.
소흥주를 만드는 사장들과 막역한 친구가 되었고, 소흥주 소믈리에(sommelier) 경지에 이르렀다.
1990년대 초반과 중반 홍콩은 경기가 활화산처럼 좋았다.
중국의 중계무역항으로서의 역할과 세계의 무역의 중심지로서 대단한 번성을 누리고 있었다.
대다수 홍콩 무역업자들이 많은 부를 이룬 시기였다.
당시 홍콩 바이어를 만나면 그들은 필자에게 항상 최상급 코냑과 저녁을 준비했고,
식사 후에는 최고급 벤츠로 호텔까지 배웅하여 주었다. 코냑은 귀하고 비싼 술이었고 홍콩에서 상류층 신분의 표시였다.
그런데 1997년 홍콩의 주권 반환 이후 정치적 변화와 더불어 와인이 물밀 듯 들어왔다.
많은 바이어들이 열풍처럼 와인을 마시기 시작했다. 그런데 와인 마시는 것이 독특했다.
생맥주잔에 와인 두 병을 붓고, 스프라이트(사이다 종류) 2병과 얼음, 레몬 몇 조각을 넣어 섞어 마시는 것이었다.
매우 달콤하고 술술 잘도 넘어갔다. 잊지 못할 와인 칵테일(?)이다.
고급 와인을 사이다와 마시다니, 지금 생각하면 와인에 대한 예의가 없었던 것 같고, 너무 아깝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고급 위스키에 맥주를 섞어 마시는 것과 마찬가지일 것이다.
2020년대 중국에서는 규모가 큰 회사들이 전 세계 최고의 와이너리에서 와인을 직접 수입하여
손님들이 오면 대접을 하는 것이 하나의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최근 중국의 음주 문화는 3가지로 분류되는 것 같다.
일반대중들과 젊은이들은 주로 맥주를 마시며, 상류층들은 와인이 대세이다.
동북3성이나 중서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바이주가 주류다.
한국과 중국의 음주 문화 차이는 한 가지로 귀결된다.
중국인들은 술은 많이 마시지만 대취하거나 술 마시면서 싸움을 하지 않는다.
또한 거리에서 타인들에게 피해를 입히는 사례가 거의 없다.
밤을 새워 술 마시는 경우도 없다.
밤 11시경이면 무조건 자리에 일어나 귀가한다.